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퍼스널컬러와 톤온톤·톤인톤 코디법 – 실패 없는 스타일링 공식

by Mintly 2025. 6. 9.

퍼스널컬러 진단을 받아도 “그래서 도대체 뭘 어떻게 입어야 하지?” 라는 고민은 계속되죠.

특히 ‘톤온톤’과 ‘톤인톤’은 쇼핑몰이나 스타일 영상에서 자주 등장하지만, 두 개가 도대체 뭐가 다른 건지, 왜 그렇게 입으면 조화로워 보이는 건지 헷갈리기 쉬워요.

이번 글에서는 퍼스널컬러에 따라 톤 조합을 어떻게 활용해야 스타일이 조화롭게 보이는지, 톤온톤 vs 톤인톤 코디 차이와 함께 자세히 알려드릴게요.


🎨 톤온톤 코디란?

톤온톤(Tone on Tone)같은 색상 계열에서 밝기, 채도만 다르게 조합하는 방법이에요.

  • 예: 베이지 + 카멜, 핑크 + 로즈, 올리브 + 카키

이런 조합은 통일감이 있으면서도 지루하지 않아 세련되고 안정적인 느낌을 줍니다.

퍼스널컬러 활용 예시:

  • 🍁 가을웜: 베이지 + 카멜 + 브라운
  • ❄ 겨울쿨: 네이비 + 블루그레이 + 딥블루

✔ 톤온톤은 특히 딥톤·뮤트톤에게 잘 어울려요. 채도는 낮추고 색감의 깊이를 강조하는 조합이기 때문입니다.


🎨 톤인톤 코디란?

톤인톤(Tone in Tone)같은 톤의 다른 색상을 조합하는 방식이에요.

  • 예: 파스텔 옐로우 + 파스텔 블루, 브라운 + 올리브

색상은 다르지만 채도, 밝기, 분위기가 유사해서 조화롭고 자연스러운 느낌을 줍니다.

퍼스널컬러 활용 예시:

  • 🌸 봄웜: 민트 + 라이트 옐로우 + 살구
  • ☀ 여름쿨: 라벤더 + 쿨핑크 + 베이비블루

✔ 톤인톤은 라이트톤·브라이트톤에게 특히 잘 어울려요. 화사하고 경쾌한 느낌을 연출할 수 있기 때문이죠.


👕 톤조합 코디 실패를 피하는 팁

1. 채도를 먼저 맞추자

색상이 달라도, 채도(선명함)가 맞으면 쉽게 조화롭게 보입니다. 예를 들어 브라운과 네이비도 둘 다 딥톤이라면 잘 어울릴 수 있어요.

2. 얼굴 가까운 곳은 퍼스널컬러 톤으로

셔츠, 스카프, 아우터 안쪽처럼 피부에 직접 닿는 부분에는 퍼스널컬러 톤을 반영하는 게 중요해요. 하의나 신발은 톤이 달라도 큰 무리는 없습니다.

3. ‘톤이 맞는 악세서리’로 연결감 주기

같은 색상 옷을 입지 않더라도, 귀걸이, 립 컬러, 가방 톤으로 스타일의 흐름을 잡아줄 수 있어요.


🔎 톤코디를 쉽게 적용하는 방법

👉 쇼핑몰에서 옷을 고를 때 – 상품 상세컷의 색상보다, 모델이 입었을 때 전체적인 톤을 살펴보세요.

👉 집에 있는 옷 중 – 비슷한 밝기나 채도를 가진 것끼리 끼워 맞춰 입어보며 감을 익히는 연습도 좋아요.

👉 처음엔 어려워도, 톤 기준으로 옷장을 정리하면 코디가 점점 더 쉬워지는 걸 느낄 수 있을 거예요.


✅ 마무리 – 색 조합의 ‘톤’만 기억하면, 실패 없다

톤온톤, 톤인톤은 눈에 보이는 스타일 이상의 효과를 줍니다. 퍼스널컬러에 맞춘 톤 조합은 피부를 맑아 보이게, 전체적인 인상을 정돈시켜 줘요.

비슷한 색을 겹치지 말고, ‘톤’이라는 기준으로 옷을 고르고 조합해 보세요.

“무슨 색을 입느냐”보다 “어떤 톤으로 조합하느냐”가 스타일링의 핵심 포인트입니다 :)